연구 성과
0000-00-00
Title
저자명
학술지
0000-00-00
Title
저자명
학술지
0000-00-00
Title
저자명
학술지
CN
ZL 202080059073.1
2024년 8월 6일
재조합 보툴리눔 독소
KR
10-2610179
2023년 11월 30일
재조합 보툴리눔 독소
KR
10-2547393
2023년 6월 20일
재조합 보툴리눔 독소
KR
10-2597062
2023년 10월 27일
재조합 보툴리눔 독소
KR
10-2731131
2024년 3월 7일
재조합 보툴리눔 독소
KR
출원
2024년 10월 24일
재조합 보툴리눔 독소
KR
출원
2024년 3월 7일
재조합 보툴리눔 독소
US
출원
2023년 10월 17일
재조합 보툴리눔 독소
EU
출원
2022년 2월 22일
재조합 보툴리눔 독소
US
출원
2022년 2월 22일
재조합 보툴리눔 독소
IN
출원
2022년 2월 21일
재조합 보툴리눔 독소
재조합 보툴리눔 독소
차세대 보툴리눔 독소에 대한 엠브릭스의 접근으로 재조합 보툴리눔 독소를 개발하였습니다. 생산의 초기 단계부터 독소의 다양한 활용까지 차별화된 새로운 보툴리눔 독소로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합니다.
보툴리눔 독소의 한계에 도전하다 :
재조합 보툴리눔 독소
균주 이슈와 내성 문제 해결
E.coli(대장균)에서 생산한 순수 독소 유전자
엠브릭스는 Clostridium botulinum이 아닌 대장균을 유전자 숙주로 삼아 보툴리눔 독소를 생산하므로 Wild type 균주 분쟁의 여지가 없습니다.
코어톡신 생산으로 내성 발생 최소화
보툴리눔 독소 생산 단계부터 순수 독소 유전자만을 생산해 부가적으로 정제하지 않고 내성 발생율이 훨씬 낮은 코어톡신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적응증으로 확대 가능
다양한 타입의 보툴리눔 독소 보유
엠브릭스는 다양한 보툴리눔 독소 혈청형을 보유하고 있으며 보툴리눔 독소의 타입과 부위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New 키메라 보툴리눔 독소 엔지니어링
분석한 독소 부위들을 다양한 조합으로 엔지니어링하여 보툴리눔 독소의 활용성, 작용기간, 지속성, 대상 적응증 등의 경계를 넓히고 있습니다.
안전하고 빠른 생산
MVRIX의 2분할 생산법
엠브릭스는 Clostridium botulinum이 아닌 대장균을 유전자 숙주로 삼아 보툴리눔 독소를 생산합니다. 이때, 코어톡스 전체를 한번에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두 조각의 절편으로 나누어 생산하는 2분할 생산법을 채택하였습니다. 생산된 독소 절편들은 공정의 후기 단계에서 하나로 조립되어 재조합 보툴리눔 톡신으로서의 독성을 지니게 됩니다.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효율을 극대화
독소를 두개의 절편으로 생산하므로 조립하기 전까지 독소가 비활성 상태로 독성을 지니지 않아 BSL-2 수준에서 안전하게 생산할 수 있습니다.
배양부터 공정 완료단계까지 1주일밖에 소요되지 않습니다. 이는 기존 방식의 1/3 수준으로 시간 효율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내성의 위험을 획기적으로 낮춘 코어톡신
코어톡신은 보툴리눔 독소의 내성을 유발하지 않습니다. 엠브릭스의 혁신적인 생산 방식으로 코어톡신을 더욱 빠르고 안전하게 생산할 수 있습니다.
빠른 효과와 긴 작용기간을 가진 편리해진 보툴리눔 독소
엠브릭스는 단백질 엔지니어링 기술을 통해 효과가 빠르게 나타나고 지속시간이 긴 보툴리눔 독소를 개발합니다.
다양한 적응증으로 확대
보툴리눔 독소가 가진 세개의 도메인을 각각 엔지니어링하여 다양한 적응증에 대응하는 맞춤형 보툴리눔 독소를 개발합니다.
엠브릭스의 재조합 보툴리눔 독소 기술은
다양한 특성의 맞춤형 코어톡신을 개발하여
차세대 보툴리눔 독소 치료제 시장을 선도할 것입니다
What is Botulinum Neurotoxin?
보툴리눔 독소는 혐기성 박테리아인 Clostridium Botulinum이 생산하는 단백질 독소입니다. 보툴리눔 톡신은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강한 독소이며, 쥐에서 반수치사량 (LD50)이 0.0003~0.00003 μg/Kg으로 흔히 알려진 복어의 독 (LD50: 10 μg/Kg)보다 3만 배 이상 강력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생산 및 취급 시 균주나 독소 자체가 환경에 유출되지 않도록 안전한 환경을 갖추어야 합니다.
보툴리눔 독소는 세 가지 주요 구조적 도메인으로 구성됩니다.
보툴리눔 독소는 신경세포에서 신경전달 물질의 분비를 저해하여 근육을 마비시킵니다.
보툴리눔 독소는 A형부터 G형까지 7개의 혈청형(Serotype)이 있으며, 그 중 A, B, E, F형이 사람에게 독성을 나타냅니다. 각 혈청형 안에는 40여 개의 아형(Subtype)이 존재하며, A1형은 1987년 출시 이후 보툴리눔 독소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내성 문제와 치료제 시장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아형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엠브릭스는 혈청형과 아형의 각각의 특성을 이해하고, 키메라 제조를 통해 맞춤형 보툴리눔 독소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Clostridium botulinum에서 생산된 보툴리눔 독소는 분자량 900kDa의 단백질 복합체로, 실제 독소로 작용하는 부분은 150kDa의 코어톡신입니다. 나머지 750kDa는 비독소 단백질로, 이 단백질은 면역세포에 의해 항원으로 인식되어 내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현재 전 세계에서 2개 회사만이 내성 발생이 적은 코어톡신 제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엠브릭스는 재조합 유전자 기술을 바탕으로 추가적인 정제 과정 없이 단순화된 공정으로 코어톡신을 생산하는 기술을 확보하였습니다.